Data Analysis

[tableau] Kospi Stock dashboard_1

su_hyeon 2023. 5. 8. 02:20

[ Kospi Stock Dashboard ] 

 

 

https://dacon.io/competitions/official/235980/data

 

월간 데이콘 KOSPI 기반 분석 시각화 경진대회 - DACON

분석시각화 대회 코드 공유 게시물은 내용 확인 후 좋아요(투표) 가능합니다.

dacon.io

 

dacon에 올라온 데이터 중에서 간단히 만들 수 있는 데이터를 선택했다.

데이터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하자면,  1981.05.01 부터 2022.08.31 까지의 일별 KOSPI 데이터이고 아래와 같은 열로 구성되어져 있다.

  • Close : 종가
  • Open : 시가
  • High :고가
  • Low : 저가
  • Volume : 거래량
  • Change : 등락률 (전일대비 등락률)
  • 등락률 = (현재종가 - 전일 종가) / 전일 종가

 

- 데이터 전처리

Date열의 년, 월, 일을 구분시켜주려 했지만, tableau 안에서 자동적으로 분리해주기 때문에

전처리를 따로 진행하지 않고 원본 데이터를 바로 로딩시켜주었다.

 

- 워크시트 생성

 

1. month_volume (월별 평균 거래량)

열과 행

-> 거래량에 해당하는 volume을 열, 월별로 나타내기 위해서 Today를 행으로 가져온다.

-> Today에는 년, 분기, 월, 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를 눌러서 월이 지정되도록 입력한다.

평균으로 변환

-> 월별 평균 거래량을 확인하고 싶기 때문에 합계로 나와있는 volume에 밑 화살표를 눌러서 위의 사진과 같이 평균으로 변경해준다.

 

마크 변경

-> 열과 행을 입력해주면 아래 쪽에 마크 영역이 생기는데, 이곳에서 차트 유형을 변경해줄 수 있다.

-> 막대로 나타내주기 위해서 막대로 변경해준다.

 

필터 설정

-> 태블로 안에서는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도록 필터영역이 활성화 되어 있는데, 이 시트에서는 각각의 년도에 해당하는 월별 거래량을 확인해보고 싶어서 필터안에 년도가 있는 변수인 Today를 끌어와준다.

 

필터 필드 설정

-> 끌어와주면 자동적으로 필터 필드 설정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필터링하고 싶은 것을 클릭해준 뒤 다음을 누르면 된다.

-> 년도로 필터하고 싶기 떄문에 년을 눌러준다.

 

연도 설정

-> 1981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가 있고, 나는 모든 년도를 보고 싶기 때문에 아래의 전체를 누르고 적용-확인을 눌러주었다.

 

필터 표시

-> 필터를 설정해주고, 필터 표시를 눌러서 아래와 같이 오른쪽 측면에 필터가 표시되도록 설정해주었다.

 

필터 표시 화면

 

필터표시 설정

-> 필터를 자세히 보면 아래를 가르키는 화살표가 있는데 그것을 눌러주면 위의 그림과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나온다.

-> 년도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정해주는 것이 있는데, 단일 값(하나만 선택), 다중값(여러개 선택) 중에서 단일 값의 드롭다운을 설정해주었다. -> 이것은 자신의 취향대로 설정하면 됨

색 지정

-> 열에 지정해두었던 평균 거래량 알약을 누르고 Ctrl을 누르면서 마크의 색상으로 끌어당겨주면 색을 지정해줄 수 있다.

 

색상 편집

-> 색상을 누르면 색상 편집을 지정할 수도 있고, 불투명도, 테두리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대로 지정해줄 수 있다.

 

색상편집

-> 색상편집에 들어가서 색상표에 따른 원하는 색상을 지정해주고, 단계별 색상도 자유롭게 지정해준 뒤 적용해준다.

 

텍스트 삽입

-> 색상을 지정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평균 volume을 "레이블"로 끌어당겨와 준다.

 

레이블 설정

-> 레이블을 눌러주면 위의 사진과 같이 레이블 서식을 지정해줄 수 있는데, 나는 여기서 레이블 마크를 최소값과 최댓값만 보여지도록 설정해 주었고, 글꼴, 글꼴 크기 등은 건들이지 않았다.

 

축설정

-> 다음으로, 축을 설정해주기 위해서 하단의 축을 눌러준 뒤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서 서식에 들어가주었다.

 

축 설정

-> 축 서식에 들어가면 눈금 표시 형식을 지정해줄 수 있다.

->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축이라는 곳에 들어가서 눈금을 숫자(사용자 지정)으로 눌러주고, 숫자가 너무 큰 것을 감안하여 K로 지정해주었다.

 

패널 값 설정

-> 패널은 차트 안에 보여지는 숫자의 눈금을 지정해주는 것인데 위의 축에서 지정해준 것과 똑같이 진행시켜 주었다.

크기 설정

-> 차트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태블로 위쪽에 보이는 곳에서 지정해줄 수 있다.

-> 표준, 너비 맞추기, 높이 맞추기, 전체 보기 중에 원하는 것으로 설정해주면 된다.

 

라인설정

-> 차트의 열에 해당하는 라인을 제거하는 것이 깔끔하다고 판단하여 차트의 아무곳이나 누르고 오른쪽 마우스를 누른 뒤 서식에 들어간다. 위의 그림과 같이 들어가주고, 격자선을 없음으로 지정해주면 된다.

 

완성

-> 월별 평균 거래량에 대한 시트를 완성해주었다.


 

2. week_volume (주별 평균 거래량)

주 번호 설정

-> 년도에 따른 주별 거래량 평균을 알아보기 위해서 Today 알약을 열로 이동시켜주고, 아래 화살표를 클릭하여 주 번호로 설정해주었다.

-> 중심선에 따라서 위에 해당하는 것은 불연속형이고 아래에 해당하는 것은 연속형 변수이다.

-> 두가지 모두를 이용해 그려보았을 때, 연속형 변수의 주 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연속형 주 번호를 지정해주었다.

행 설정

-> 행은 거래량을 보고 싶기 때문에 거래량에 해당하는 Volume 알약을 가져와주고, 평균으로 바꾸어 주었다.

 

필터 설정

-> 년도가 들어있는 알약인 Today을 필터에 삽입해준다.

년도 필터 설정

-> 년도에 따라 보고 싶기 때문에 년으로 필터링하고 다음을 눌러준다.

 

연도 설정

-> 모든 연도에 대해서 보고싶기 때문에 전체를 눌러주고 적용해준다.

필터표시

-> 앞서 만든 필터를 표시해주고 단일값(드롭다운)으로 지정해준다.

 

Volume 데이터 한개 더 생성

-> 행에 있었던 평균 거래량 알약을 Ctrl을 눌러서 한개 더 생성시켜준다.

-> 한개 더 만들어준 이유는 이중 축을 적용하여 같은 데이터에 대하여 차트를 두개를 만들고 싶기 때문이다.

 

축 동기화 및 머리글 표시 해제

-> 행을 한개 더 만들어주면 축이 2개가 생기는데 같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단위가 같음을 알 수 있다.

-> 그렇기 때문에 머리글 표시를 제거해주면서 한개의 축만 보여주면 더 깔끔한 차트를 만들 수 있다.



마크(1) 그래프 유형 -> 라인


마크(2) 그래프 유형 -> 원

-> 앞서 행에 같은 데이터를 두개 만들면 마크 지정에 2개의 평균 거래량 차트 설정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 위의 사진과 같이 한개는 라인그래프, 한개는 원 그래프로 설정해준다.

 

 

색상지정

-> 마크 중에서 2번째 그래프(원)의 색상을 지정해주기 위해서 행에 있는 평균 거래량 알약을 Ctrl을 누르고 색상에 넣어준다.

 

색상편집

-> 색상편집에 들어가서 원하는 색깔로 색을 지정해준다.

 

레이블 지정

-> 첫번째 마크 차트(라인차트)에는 차트에 레이블이 지정되도록 하고 싶어서 행에 있는 평균 거래량을 Ctrl을 누르고 레이블에 넣어준다.

 

레이블 편집

-> 레이블을 누르면 위의 사진과 같이 편집할 수 있는 것들이 나오고, 맨 위에 있는 마크 레이블 표시를 눌러주면, 각각의 거래량이 차트 위에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 이 차트에는 최소/최댓값만 보고 싶기 때문에 레이블 마크에서 최소/최대를 지정해주었다.

 

주별 평균 거래량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용한 데이터에 대한 설명과 데이터 중에서도 거래량을 중심으로 시각화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같은 데이터 중에서도 등락률에 대해 시각화한 것과 그것들을 대시보드로 만든 것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다.